Robotics | 2025.06.12

휴머노이드 시대, 길 잃은 삼성과 현대차

연구자 정보

카지토 프로필 보기

  • 출신대학 : POSTECH
  • 전공 : 전기공학과
  • 연구분야 : 컴퓨터 사이언스

1분 요약

삼성과 현대자동차의 로봇 분야 진출은 시장 규모, 기반 기술, 그리고 그룹 내 시너지 측면에서 자연스러운 행보로 평가된다. 그러나 미래 로봇 기술의 핵심이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모빌리티에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미 중국이 LLM 기술의 현재와 미래 양 측면에서 한국을 앞서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한국이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 모두에서 시장을 주도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자동차가 인수한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하드웨어 및 제어 기술은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이며, 여기에 인공지능 역량을 신속하게 보완하고 투자한다면, 글로벌 로봇 시장에서의 위상을 충분히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

CHAPTER 1.

날 두고 떠난 레인보우 로보틱스

FigureAI가 공개한 Helix AI. (출처 : Figure Youtube – Introducing Helix)

“처음 보는 물건일 테지만, 힘을 합쳐 정리 좀 부탁해.”

지난 2월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Figure AI가 공개한 Helix AI 데모 영상. 연구원의 말이 끝나기 무섭게, 두 대…

스탠다드 등급 이상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멤버십 소개 보기

연구자 의견

SUMMARY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는 각각 가전제품과 공장 자동화 분야에 로봇을 투입하기 위한 대규모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 로봇 기술 발전의 핵심이 LLM(대규모 언어 모델)에 있다는 점, 그리고 LLM의 현재와 미래 양 측면 모두에서 중국이 한국을 앞서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로봇 산업에 대한 투자를 망설이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하드웨어…

비즈니스 등급 이상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멤버십 소개 보기

문의하기

궁금한 점을 적어주시면 리포트를 작성한 연구자가 답변을 드립니다

VIP 등급 이상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멤버십 소개 보기

커피챗 신청

VVIP 등급 이상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멤버십 소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