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 2025.09.02

KAIST, 요슈아 벤지오와 AI 추론속도 100배 신기술 개발 성공!

연구자 정보

라온 프로필 보기

  • 출신대학 : KAIST
  • 전공 : 전산학부
  • 연구분야 : AI reasoning, System2 AI

1분 요약

AI의 힘은 단순 계산이 아니라 ‘오래 생각할수록 답이 좋아지는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그동안 언어 모델은 이 능력을 보여줬지만, 이미지 생성에 쓰이는 확산 모델은 벽에 막혀 있었습니다. 그런데 KAIST가 발표한 MCTD 연구는 초대형 미로 문제를 100% 풀어내고, 추론 속도를 100배 높이며 이 한계를 깨뜨렸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냉정합니다. 한국이 준비한 GPU는 OpenAI의 1% 수준에 불과하고, 인재는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먼저 개발했지만 실리콘밸리가 먹는다’는 익숙한 비극을 되풀이할지, 이번만큼은 바꿀 수 있을지가 향후 몇 년 안에 결정될 겁니다.

본문

CHAPTER 1. 나의 생각

카이스트 AI 확산모델 신기술

2025년 7월 18일, 기자들에게 엠바고가 걸린 메일이 한통씩 전달되었다.

엠바고가 풀리는 날짜는 7월 20일 정오.

데스크 의견: 실제로 에스오디가 받았던 엠바고 메일

확산 모델(diffusion model)은 많은 AI 응용에 활용되고 있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확산모델은 AI…

스탠다드 등급 이상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멤버십 소개 보기

연구자 의견

기업과 기술에 대한 연구자 의견 (BUSINESS)

AI가 내 전공이라 그것만 보여서 그런건지 모르겠는데, 솔직히 앞으로 대한민국의 미래가 두렵다. 미래 산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AI 기술력에서 미국과 중국에 비해 너무 뒤쳐져 있다. 2000년대 초반에만 해도 IT 강국으로 전세계에 명성을 떨쳤었는데, 조금 강하게 말하지만 지금은 빠른 인터넷 말고 내세울 게 뭐가 있나 싶다.

이러한 차이를 만든 것은 경제…

비즈니스 등급 이상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멤버십 소개 보기

문의하기

궁금한 점을 적어주시면 리포트를 작성한 연구자가 답변을 드립니다

VIP 등급 이상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멤버십 소개 보기

커피챗 신청

VVIP 등급 이상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멤버십 소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