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
쿼카 프로필 보기
- 출신대학 : KAIST
- 전공 : 반도체공학대학원
- 연구분야 : 마이크로LED, 유연전자소자, 차세대반도체물질(2차원, 화합물 반도체)
1분 요약
삼성디스플레이는 현재 세계 OLED 시장에서 압도적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애플 아이폰부터 갤럭시까지, 전 세계 스마트폰 화면의 절반 이상이 삼성 패널로 채워져 있죠. 포스트 OLED 시대의 핵심 기술인 마이크로 LED와 나노 LED에서도 삼성은 한 발 앞서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업계 최초로 나노 LED의 발광 효율을 OLED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기술적 돌파구를 마련했습니다. 마이크로 LED를 넘어 나노 LED까지 영역을 확장한 것이죠. LG디스플레이는 대형 OLED TV 시장에서 50% 이상의 압도적 점유율을 확보하며 독주하고 있습니다. LG는 대형 디스플레이에서, 삼성은 소형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는데요. 중국 업체들의 추격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기 때문입니다. 과거 LCD 시장에서 겪었던 ‘기술 추월의 악몽’이 재현되지 않으려면, 핵심 기술 유출 방지와 우수 인재 확보에 더욱 집중해야 할 시점입니다.